IntelliJ 외장 톰캣에 배포하고 실행하기
오늘은 IntelliJ라는 JAVA를 다루는 분들이라면 많이 사용하시는 IDE를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war파일로 배포하고, 외장 톰캣에 배포하려고합니다. Legacy프로젝트는 war파일로 배포하는것이 굉장히 쉬웠는데, spring boot 프로젝트는 몇가지 변경점이 있고 내장, 외장 톰캣 구동에 차이가 있지만 외장 톰캣 배포방법에 대해서만 다루겠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대부분 프로젝트의 테스트를 마무리하고 배포하시려는 분들이 많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기존 프로젝트가 있으시면 2번부터 보시면 되겠습니다.
1. 프로젝트 생성
우선 배포할 프로젝트가 있어야합니다.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생성법은 하단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3.07.14 - [JAVA] - [Spring]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방법
[Spring]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방법
Spring boot란? - Spring Boot란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생성시 처음하면 매우매우 복잡하고 절대로 쉽게 할 수 없는 초기 설정 및 라이브러리 세팅을 간단하게 만들어주는 프레임워크(FrameWork)입니다. -
lucky-web.tistory.com
2. build.gradle 수정
우선 빌드하실때 build에 들어가면 해당 디렉토리들이 보이실텐데요. bootWar이나 bootJar은 내장 톰캣에서 프로젝트를 구동할 때 사용됩니다. 때문에 밑에 있는 war이나 jar로 배포해야한다는 점 미리 말씀드리겠습니다.
해당 과정을 실행하기전, build.gradle을 변경해주어야합니다.우선
id 'java'
id 'war' //추가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14'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5.RELEASE'
}
이부분은 첫 사진의 war라는 이름의 메뉴를 추가해주는 부분입니다.
또한 이 부분을 build.gradle에 추가합니다. 맨 윗사진의 war라는 이름의 플러그인을 실행할 수 있게해주는 구문입니다.
bootWar.enabled = false
war.enabled = true
위 부분은 위에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내장톰캣전용인 bootWar의 빌드를 제한해주고 war파일을 만들게 해주는데, 두가지가 충돌하지 않게 직접 사용도를 지정한겁니다. 내장용으로 받으실거면 bool값을 반대로 주시면되겠죠?
archivesBaseName = 'test2'
archiveFileName = 'test2.war'
archiveVersion = '0.0.0'
}
해당 부분은 배포될 war파일의 파일명, 버젼등을 지정하는 부분입니다.
이렇게 되면 build.gradle파일의 수정은 완료됩니다. 전체 코드 사진을 보여드리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습니다.
id 'java'
id 'war'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14'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5.RELEASE'
}
group = 'com.example'
version = '0.0.1-SNAPSHOT'
// 내장톰캣 전용 war파일과 외장전용의 충돌 방지
bootWar.enabled = false
war.enabled = true
java {
sourceCompatibility = '1.8'
}
war{
archivesBaseName = 'test2'
archiveFileName = 'test2.war'
archiveVersion = '0.0.0'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providedRuntime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omcat'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3. SpringBootApplication.java 수정
외장 톰캣에 배포하여 사용하려면 위 클래스 파일을 아래와 같이 수정해야합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builder.SpringApplicationBuilder;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support.SpringBootServletInitializer;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Test2Application extends SpringBootServletInitializer { // 추가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Test2Application.class, args);
}
@Override // 추가
protected SpringApplicationBuilder configure(SpringApplicationBuilder application) {
return application.sources(Test2Application.class);
}
}
해당 부분은 application.sources로 받은 클래스를 외부 servlet에 배포할 수 있게 변환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내장 톰캣용 배포를 하시는 분들은 필요가없지만. 외장 서버에는 서블릿을 초기화하고 설정을 등록하는 것이 필요하기때문에 해당 메소드를 추가해야합니다.
4. war파일 빌드
해당 설정까지 완료하셨으면 아래 사진과같이 gradle 메뉴를 열고 war메뉴를 실행하시면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경로/build/libs 파일에 보시면 제가 설정한대로 .war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archivesBaseName = 'test2'
archiveFileName = 'test2.war' // 설정한 파일명
archiveVersion = '0.0.0'
}
4. 외장 톰캣에 파일 옮기기
이후 설치한 외장 톰캣 파일의 webapps 옮기시면됩니다. 아래 사진같은 경우는 제가 따로 실행시킨 test.war파일이 있습니다.
또한 5번에서 세팅을 할 것인데. 이런 방법 없이 바로 실행되었으면 좋겠다 하시는 분들은 war파일을 root.war로 바꿔서 넣으시면됩니다. 기본적으로 톰캣은 root.war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후 톰캣 경로/conf파일의 server.xml에 들어가 설정을 해주어야합니다.
제일 밑에 있는 <Host></Host>부분에
라는 부분을 추가할 것인데. path는 localhost:포트번호 다음에 입력할 프로젝트의 경로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docBase는 어떤 파일을 베이스로 가지고갈지 결정하는 것입니다.(war파일명 적으면됩니다.)
reloadable은 war파일을 업데이트해서 바꿔치기를 하면 적용이 바로 되도록하는 것입니다. 개발시에는 true가 편하고, 운영시에는 당연히 false로 놓아야합니다.
아래는 server.xml의 전체 코드입니다.
6. Tomcat 실행 및 디렉터리 생성 확인
이제 톰캣경로/bin에 들어가 Window는 startup.bat, MacOs는 startup.sh를 눌러 실행시킨 후 webapps에 들어가 추가한 war파일과 이름이 같은 디렉터리가 생기는지 확인하고, startup에서 로그를 확인하며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우선 디렉터리가 생겼으면 반쯤 성공했다고 보시면됩니다.
이제 웹에서 잘 나오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저는 server.xml에서 localhost:포트번호/프로젝트명/test2를 입력하면 index파일이 나오게 설정해놓았습니다.
또한 미리 등록되있는 프로젝트는 포트명까지만 입력하면 작동되는 기본 프로젝트이므로, 그역시 작동되는지 확인하겠습니다.
모두 잘 작동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것으로 Spring Boot 프로젝트 외장 톰캣 배포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intWriter와 FileWriter에 대하여 (0) | 2024.06.29 |
---|---|
JAVA Timer 클래스에 대하여 (0) | 2024.06.28 |
[Spring]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방법 (0) | 2023.07.14 |
[JAVA] NetworkOnMainThreadException 해결 (0) | 2023.07.12 |
[JAVA] Try-Catch문에 대하여 (0) | 2023.07.11 |